Share

제 10화

상처가 심해진 원경릉에게 입궁 전갈이?

이 모든 걸 마치고 원경릉은 너무 피곤한 나머지 탁자에 반쯤 엎드려 축 늘어졌다. 자신의 모습이 꼴불견이라는 걸 알지만 그걸 신경 쓸 상황이 아니었다.

잠시 숨을 돌리자 밖에서 기상궁이 초조한 목소리가 들려왔다, “왕비 마마, 어떤 지요?”

원경릉은 탁자를 짚고 천천히 일어서며 담담한 목소리로 말했다. “들어오너라.”

문이 열리고 기상궁과 녹주가 뛰어들어와 열이 옆에 가더니, 열이의 숨소리가 고르게 안정된 것을 보고 기상궁은 비로소 한 시름 놓았다.

원경릉은 약 상자를 들고: “오늘밤 일은 너희 둘만 알고 입을 다물어라. 초왕이나 초왕부 사람이 알게 해서는 안된다.”

기상궁과 녹주는 의아해하며 서로 바라봤다.

녹주가 앞으로 나가 원경릉을 부축하고 “왕비 마마, 소인이 길을 안내하겠습니다.”

“됐다. 열이를 지켜라. 머리맡에 내가 남겨둔 약이 있으니 두 시진마다 한번 씩 먹이고. 다 먹으면 나에게 더 필요할지 묻고.” 원경릉은 녹주 손을 뿌리치고 힘겹게 밖으로 나갔다.

“왕비 마마!” 기상궁이 소리쳤다. 원래는 감사하다는 말을 하고 싶었지만, 원경릉이 이전에 한 일을 떠올리면 감사하다는 말이 입밖으로 나오질 않아 그저: “밤길이 어둡습니다, 등롱을 들고 가시지요.”

등롱을 건네자, 원경릉은 등롱을 받으며, “고맙네!”

기상궁은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고맙네? 지금 고맙다고?

원경릉은 봉의각으로 돌아가 스스로에게 주사를 놓고 침대에 엎드렸다.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상처의 면적이 너무 넓은데다 항생제 작용까지 겹쳐 그녀는 눈에 띄게 약해졌다.

고열이 난 뒤라 손가락 하나도 꼼짝할 수 없고, 물먹은 솜 마냥 한없이 바닥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었다.

곧 사방에 어둠이 깔리고 원경릉은 까무룩 잠이 들었다.

얼마나 지났을까, 누군가 문을 열고 급히 들어와: “왕비 마마, 어서 일어나세요.”

원경릉이 겨우 눈을 떠 보니 녹주가 안절부절 하고 있고, 해는 이미 중천에 떠 있다.

천천히 몸을 일으키며, “열이가 또 고열이 나는 거야?”

“아닙니다, 어서 일어나세요. 궁에서 사람이 와서 마마님과 왕야께 서둘러 입궁하라 십니다.” 녹주는 원경릉 등에 핏자국을 보더니, “그 몸으로 지금 걸으실 수 있으시겠어요?”

“궁에 무슨 일이냐?” 원경릉은 한숨 자고 나도 상처가 전혀 호전되지 않고 오히려 정신이 혼미한 것이, 상처의 골든 타임을 놓치는 바람에 감염이 진행되어 발열이 시작되었음을 직감했다.

녹주는 목소리를 낮추어 말했다: “소문으론 태상황(太上皇)께서 위독하시데요.”

원경릉은 머리 속으로 몸의 원래 주인 기억을 더듬었다, 태상황?

지금 황제 명원제(明元帝)가 즉위하던 5년 전, 어의 말에 태상황은 가슴병과 풍으로 그해 가을을 넘기기 어렵다고 했다. 그래서 아직 의식이 있을 때 당시 태자에게 보위를 물려준 것인데, 태자가 황위에 오른 뒤 태상황은 돌연 상태가 호전될 줄 누가 알았겠는가. 하지만 태상황은 침대에 누워만 계시고 움직이진 못하셨다.

작년 겨울, 태상황의 병세가 다시 악화되어 지금에 이르렀는데 아마 때가 된 모양이다.

원경릉은 궁중 예법을 모르지만 평민의 가정도 할아버지가 돌아가실 때 손자, 손자 며느리 모두 머리맡에서 임종을 지키는 것이 도리다.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원경릉의 상처는 핏물과 옷이 달라붙어, 몸을 일으키기만 해도 눈물이 날 만큼 통증이 심했다.

어젯밤 열이 눈을 치료하러 갔을 때 원경릉의 상처가 벌어지면서 핏물이 흘러나와 상처는 이전보다 더 심해졌다.

두 손으로 몸을 버티질 못하고 다시 침대에 쓰러졌다.

녹주가 이런 상황을 보고: “쇤네가 가서 왕야께 말씀 드릴까요. 진짜 움직이실 수가 없으시다고.”

원경릉은 방금 일어나려고 움직인 탓에 더욱 정신이 아득해 지며 침대에 쓰러지고 말았다. 녹주가 나가는 발소리를 듣고, 원경릉은 자기 몸이 이지경인데 초왕이 설마 전신에 상처가 난 상태로 입궁하라고 하진 않겠지 막연히 생각했다.

젖 먹던 힘을 다해 약 상자에서 해열제 한 알을 꺼내는데 안쪽에 아트로핀 타블렛 한 병이 놓여 있는 것이 눈에 띠었다.

약 상자에 아트로핀은 없었는데.

뒤져 보니 밑에 도파민 주사액도 있고, 본인이 설계한 정맥 주사 고정기까지 있다.

그럴 리 없어.

도파민과 아트로핀은 실험실엔 있지만 응급 상황을 대비해 실험실에 구비해 놓았을 뿐이지 약 상자에 넣어둘 리 만무하고, 정맥 고정기는 더 말할 것도 없다.

게다가 약 상자를 처음 발견했을 때 안에 들은 약품을 샅샅이 살펴봤지만 확실히 이런 건 없었다.

Related chapters

Latest chapter

DMCA.com Protection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