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빈 씨, 죄송합니다. 최수빈 씨 따님은 2월 15일 새벽 1시 13분에 사망하셨습니다.”최수빈은 토끼 인형을 손에 쥔 채 무감한 표정으로 수술실을 바라보았다.이제 그만 딸을 보내줘야 했다.최수빈은 수술 침대 위에 누워 있는 딸의 작은 손을 그러쥐었다.온기가 전혀 느껴지지 않는 차가운 손이었다.딸의 머리카락을 정리해 주던 최수빈은 응급실로 실려 가기 전 딸이 힘없는 목소리로 했던 말을 떠올렸다.“엄마, 아저씨 아직도 안 왔어요?”주예린이 말한 아저씨는 주예린의 생부 주민혁이었다. 주민혁은 주예린에게 아빠라고 부르지 못하게 했으면서 정작 그의 첫사랑인 박하린의 아들에게는 자신을 아빠라고 부르게 했다.주예린의 생일 소원은 아빠와 함께 생일을 보내는 것, 그리고 주민혁을 아빠라고 부르는 것이었다.면역력이 약한 주예린은 지난해 겨울 찬바람 속에서 주민혁이 집으로 돌아와 밥을 먹기를 기다리다가 독감에 걸려 폐렴까지 앓게 되었다. 그러다 올해 몸 상태가 급격히 악화해 병원에 오랫동안 입원해 있었다.오늘도 혹독히 추운 날이었다. 주예린은 또다시 최수빈 몰래 밖으로 나가 주민혁이 집으로 돌아오기를 기다렸다.최수빈은 주예린이 정신을 잃은 걸 뒤늦게 발견하고는 곧장 병원으로 달려갔다.의사가 마음의 준비를 하라고 했을 때 최수빈은 주민혁에게 연락해 딸의 생일날만이라도 함께 있어달라고 애원했다.그러나 주민혁은 또 한 번 약속을 저버렸다.최수빈은 딸의 작고 야윈 몸을 끌어안은 채 나지막한 목소리로 말했다.“우리 딸... 이젠 아프지 않겠네.”이제 더는 병마에 시달릴 필요도 없고, 아빠에게 미움받거나 영원히 받지 못할 아빠의 사랑을 갈망할 필요도 없었다.“엄마, 아저씨는 왜 아빠라고 부르게 못 하는 거예요? 저랑 다르게 오빠는 아빠라고 부를 수 있잖아요...”“엄마, 하린 이모가 오빠를 좋아해서 아빠도 오빠를 좋아하는 거예요?”딸의 천진난만한 질문이 아직도 최수빈의 귓가를 맴돌았다.너무 어렸던 주예린은 아빠가 왜 자신을 좋아하지 않는지, 왜 아빠
Baca selengkapnya